“혹시 1등 당첨되면 어떡하지?” 하며 혹시 모를 대박의 순간을 상상해 보신 분들 많으실 텐데요.
오늘은 그 상상을 현실로 대비하기 위해, 로또 당첨 시 세금 계산법과 실제 받게 되는 금액(실수령액)을 “각 등수별로, 쉽고 명확하게, 재미있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1. 로또 당첨
: 왜 세금을 내야 할까?
먼저 로또 당첨금은 소득세법상 ‘기타 소득으로 분류됩니다. 즉, 근로소득이 아닌 별도 소득으로 간주되며, 여기에는 소득세와 지방소득세가 같이 붙습니다.
- 비과세 구간: 200만 원 이하
- 22% 과세 구간: 200만 초과 ~ 3억 이하 (소득세 20% + 지방소득세 2%)
- 33% 과세 구간: 3억 초과 시 (소득세 30% + 지방소득세 3%)
물론, 복권 구매비(1,000원)는 필요경비로 자동 인정되어 과세 기준에서 제외됩니다.
2. 소득세율 구간
200만 원 이하 → 비과세
- 당첨금이 200만 원 이하라면, → 세금 없이 전액 수령 가능합니다.
(예: 4등 5만 원, 5등 5,000원)
200만 초과 ~ 3억 이하 → 22%
- 당첨금이 200만 원 초과~3억 원 이하라면,
→ 22% 세율(소득세 20% + 지방소득세 2%) 적용됩니다. (속칭 ‘분리과세’) - 수령 시 자동 원천징수되어 세금은 이미 공제된 상태입니다.
3억 초과 구간 → 누진세 33%
- 3억 원 초과분에 대해 33% 세율이 적용되며, 3억 원 이하는 22% 세율로 계산한 뒤, 초과분에 대해서만 33%를 적용합니다.
- 결과적으로 당첨금액 전체에 대해 누진세 체계가 작동합니다.
3. 등수별 당첨 조건과 수령액
🥇 1등 (6개 번호 모두 맞히기)
- 당첨금: 회차별로 달라지며, 보통 수십억 원대
- 세금 계산:
- 3억 원까지 → 22%
- 초과분 → 33%
- 실수령액 = 당첨금 − 세금
- 수령처: 농협 본점 (신분증 + 복권 지참 필수)
🥈 2등 (5개 번호 + 보너스번호 일치)
- 당첨금: 수천만 원 ~ 수억 원 대표 수준
- 세율: 전체에 대해 22%
- 실수령액 = 당첨금 − (당첨금 × 22%)
- 수령처: 농협 지점 (신분증 + 복권 지참)
🥉 3등 (5개 번호 일치)
- 당첨금: 수백만~수천만 원대
- 200만 원 이하 → 비과세
- 200만 초과 시 → 초과분에 대해 22%
- 수령처: 농협 지점 (신분증 + 복권 지참)
🎖️ 4등 (4개 번호 일치)
- 당첨금: 고정 50,000원
- 세금 없음 → 전액 수령
- 수령처: 판매점 또는 농협 지점 (복권만 지참)
🏅 5등 (3개 번호 일치)
- 당첨금: 고정 5,000원
- 세금 없음 → 전액 수령
- 수령처: 판매점 또는 농협 지점 (복권만 지참)
4. 등수별 실수령금액
1등 예시 ★ (20억 원 당첨 시)
- 3억 원 × 22% = 6,600만 원
- 초과분(17억) × 33% = 5억 6,100만 원
- 총 세금 = 6억 2,700만 원
- 실수령액 = 20억 − 6억 2,700만 = 13억 7,300만 원
2등 예시 (7,000만 원 당첨 시)
- 세금: 7,000만 × 22% = 1,540만 원
- 실수령액: 7,000만 − 1,540만 = 5,460만 원
3등 예시 (150만 원 당첨 시)
- 200만 원 이하라 전액 수령, 세금 없음!
4등, 5등 예시
- 50,000원, 5,000원 → 세금 없음, 전액 수령
5. 복권 당첨금 수령 절차

등수 | 수령처 | 준비물 |
1등 | 농협 본점 | 신분증 + 복권 |
2·3등 | 농협 전국 지점 | 신분증 + 복권 |
4·5등 | 판매점 또는 농협 지점 | 복권만 지참 |
수령 시에 원본 복권과, 1~3등의 경우 신분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6. 당첨 후 ‘생각하면 좋은’ 재정
💡 분리과세 적용!
- 당첨금은 타 소득과 합산되지 않으며, 분리과세되어 별도로 세금이 계산됩니다.
💡 구매비는 필요경비!
- 복권 구매비 1,000원은 과세 대상에서 제외되어 실제로는 세금이 조금 줄어듭니다.
💡 200만 원 이하 당첨 → 비과세!
- 4등·5등뿐만 아니라, 200만 원 이하 당첨금은 모든 경우 전액 수령 가능합니다.
💡 증여세 주의!
- 당첨금을 다른 사람에게 나눠줄 경우, 개인별 연 6,000만 원 초과 시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어요. 자칫하면 50% 세율까지 적용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 예치 후 이자에도 세금!
- 당첨금을 은행에 예치하면, 그 이자에는 15.4% 이자소득세가 부과됩니다.
💡 원천징수 방식
- 당첨금은 원천징수 방식이기 때문에, 수령 즉시 세금이 자동 공제되어 별도 세무신고가 필요치 않습니다.
7. 왜 이렇게 ‘세금이 높은가요?’
- 기타 소득이면서 높은 세율이 적용되어
- 특히 3억 원 이상은 33%라는 ‘조금 높은 구간’이 적용됩니다.
물론 당첨 자체가 순식간의 인생 역전 기회지만, 이 세율 구조를 모르고 단순합계를 기대하다가 ‘당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8. 정신 차리고 자산관리의 첫걸음!
- 단순히 “10억 당첨!”만 기대하면, → 막상 받는 건 약 7억 내외라는 현실이 있으니...
- 당첨 후 계획이야말로 정말 중요합니다.
정리하면, 로또 1등 당첨금을 받으면 실수령액은 보통 전체의 60~70% 정도입니다. 특히 3억 원 초과분에는 33% 세율이 적용되어 세금 부담이 큽니다. 물론 당첨 자체가 뜻밖의 기회이지만, 알고 미리 대비하는 것이 진정한 ‘현명한 수령’이죠! 여러분, 만약 정말 당첨된다면... 이 글을 꼭 다시 꺼내 보시고, “세금에 당황하지 않고, 계획적으로!” 대처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