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사람의 피부색은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세포에서 만들어지는 멜라닌의 양과 혈액의 적혈구에 존재하여 피부색을 붉게 보이게 하는 헤모글로빈, 피부를 황색을 띠게 해주는 카로틴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그중에서 멜라닌이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거나 기미 피부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미 피부를 만드는 멜라닌 세포는 기저층에 있는 각질형성세포와 함께 존재하고 있으며 피부 재생주기에 따라 피부 표피 위로 올라와 표피형 기미라고도 불리고 있습니다.
기미 피부의 원인
기미는 주로 여성 중에서도 가임기의 여성에게 나타나는 후천적인 색소침착입니다. 밝은 갈색 또는 짙은 갈색을 띠고 정상 피부와의 경계가 확실하게 구분되며 불규칙한 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증상 중 통증은 따로 없으며 주로 자외선에 노출되는 얼굴의 뺨과 코 부위 또는 이마와 눈 밑에 많이 발생합니다. 한국인의 경우에는 얼굴의 뺨과 코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기미발생의 원인으로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자외선이 주원인입니다. 그 외에도 임신이나 경구피임약, 유전적인 소양, 영양결핍, 스트레스, 과로와 수면부족 등에 의해서도 발생하게 됩니다. 기미를 발생시키는 호르몬은 첫 번째로 황체호르몬이 있습니다. 여성의 난소는 난자를 만드는 생식기관으로 여성의 몸이 성숙하게 되면 난소에서 에스트로겐이라는 여성호르몬이 분비됩니다. 이 에스트로겐 호르몬이 분비되면 여성을 더욱 여성스럽게 만들어 줍니다. 여성의 배란이 끝나고 다음 생리 때까지를 황체기라고 하는데, 이때 황체호르몬이 분비됩니다. 황체호르몬은 임신을 했을 때도 분비가 되어 임신이 유지되도록 합니다. 임신성 기미는 이때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경구피임약의 사용 역시 황체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 기미가 생기는 원인이 됩니다. 황체호르몬은 멜라닌세포 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피부가 자외선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됨으로써 기미가 생기게 됩니다. 두 번째 기미와 관련된 호르몬은 멜라닌세포 자극호르몬입니다. 뇌하수체에서 나오는 멜라닌세포 자극호르몬은 멜라닌세포의 활동의 과잉 시 멜라닌세포가 만들어지는 기저층 부위가 멜라닌색소의 증가로 피부색이 검어져서 기미로 됩니다. 멜라닌세포 자극호르몬은 임신 중에는 황체호르몬과 함께 분비가 증가하게 됩니다. 몸 전체에 멜라닌세포 자극 호르몬이 작용하게 되어 얼굴뿐만 아니라 여성의 유두나 외음부도 더욱 검게 만듭니다. 세 번째 호르몬은 부신겉질 스테로이드입니다. 부신겉질은 부신겉질스테로이드라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생성합니다. 부신겉질 스테로이드호르몬인 코티솔의 생산이 부족하여 결핍이 된다면 과도한 피부색소침착을 유발하게 됩니다.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게 되면 부신피질 자극호르몬이 평소보다 더 많이 분비되어 멜라닌세포 자극호르몬의 활동을 증가시키게 되어 기미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그 밖의 기미를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버가못, 레몬, 오렌지 등의 아로마오일의 관리를 받은 후 햇빛을 쬐면 자외선 알레르기나 피부염을 일으키며 색소침착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목욕을 할 때 목욕타월 등의 강한 마찰로 인해서 생긴 상처나 찰과상과 같은 경우에도 기미가 악화되기도 합니다.
기미 피부의 효과적인 관리방법
기미 피부는 기미를 만드는 멜라닌색소의 억제와 규칙적인 박피 및 재생관리, 미백효과가 뛰어난 화장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방법과 미용기기사용을 통해서 기미 피부에 유효한 성분의 흡수율을 높여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화장품을 이용한 자외선차단 방법도 기미 피부의 관리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 밖에도 비타민을 복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기미 피부 화장품에 사용되는 유효성분이 함유된 화장품을 사용합니다. 미백작용이 있는 성분으로는 코직산, 알부틴, 닥나무추출물, 감초추출물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성분들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방해하는 성분으로 미백작용을 도와줍니다. 또한 엘라직산,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의 흡수와 항산화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미 피부 관리 제품으로 좋은 성분입니다. 비타민C는 멜라닌 활성을 차단하거나 저해시킵니다. 또한 강한 항산화작용을 하여 피부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세포재생의 촉매제 역할을 합니다. 그 밖의 규칙적으로 피부에 필링을 하는 것도 기미 피부의 관리방법입니다. AHA는 글리콜산, 젖산, 사과산 등이 있어 대표적인 화학박피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필링을 한다고 해서 기미가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필링은 무리해서 너무 자주 해서도 안됩니다. 또한 필링 후 재생관리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합니다. 태반추출물은 주로 소나 염소 등의 태반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수용성 비타민과 아미노산과 미네랄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세포재생과 미백작용에 효과가 좋습니다. 필링 후 재생관리로는 콜라겐 벨벳 마스크와 비타민 재생관리 등을 하면 좋습니다.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은 기미 피부에게 필수적으로 실시해야 되는 관리방법일 것입니다. 자외선을 차단하는 성분으로는, 산화아연 이산화티탄과 같은 자외선을 반사하여 차단하는 자외선 산란제와 자외선이 피부에 침투하는 것을 흡수하여 소멸시켜 주는 자외선 흡수제가 있습니다.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UV A, UV B를 모두 차단해야 기미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산화티탄과 옥시벤존은 자외선 차단의 효과가 있습니다. 자외선 흡수제는 피부 자극이 있을 수 있어 부작용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또한 자외선 차단제 사용 후 클렌징은 철저히 모공 속의 노폐물을 제거해 주어 기미나 잡티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